실전! 스프링 부트와 JAP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인프런-김영한)
요구사항 분석
실제 동작하는 화면
![[Pasted image 20231009020858.png]]
기능 목록
- 회원 기능
- 회원 등록
- 회원 조회
- 상품 기능
- 상품 등록
- 상품 수정
- 상품 조회
- 주문 기능
- 상품 주문
- 주문 내역 조회
- 주문 취소
- 기타 요구사항
- 상품은 재고 관리가 필요하다.
- 상품의 종류는 도서, 음반, 영화가 있다.
- 상품을 카테고리로 구분할 수 있다.
- 상품 주문시 배송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도메인 모델과 테이블 설계
- 회원 - 주문
회원은 여러 주문을 할 수 있으니 1대다 - 주문 - 주문 상품 - 상품(물품)
한 번 주문할 때 여러개의 상품을 선택할 수 있고 한 상품은 여러 주문에서 판매될 수 있기 때문에 주문과 상품은 다대다 관계이다. 하지만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물론이고 엔티티에서도 다대다 관계는 사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중간에 주문 상품 엔티티를 추가해서 다대다 관계를 일대다 - 다대일로 설정했다. - 상품 분류
상품은 도서, 음반, 영화로 분류되고 상품이라는 공통 속성을 사용하므로 상속 구조로 표현한다.회원 엔티티 분석
- 회원(Member)
이름과 임베디드 타입인 주소( Address ), 그리고 주문( orders ) 리스트를 가진다. - 주문(Order)
한 번 주문시 여러 상품을 주문할 수 있으므로 주문과 주문상품( OrderItem )은 일대다 관계다. 주문은 상품을 주문한 회원과 배송 정보, 주문 날짜, 주문 상태( status )를 가지고 있다. 주문 상태는 열거형을 사용했는데 주문( ORDER ), 취소( CANCEL )을 표현할 수 있다. - 주문상품(OrderItem)
주문한 상품 정보와 주문 금액( orderPrice ), 주문 수량( count ) 정보를 가지고 있다. (보통 OrderLine , LineItem 으로 많이 표현한다.) - 상품(Item)
이름, 가격, 재고수량( stockQuantity )을 가지고 있다. 상품을 주문하면 재고수량이 줄어든다. 상품의 종류로는 도서, 음반, 영화가 있는데 각각은 사용하는 속성이 조금씩 다르다. - 배송(Delivery)
주문시 하나의 배송 정보를 생성한다. 주문과 배송은 일대일 관계다. - 카테고리(Category)
상품과 다대다 관계를 맺는다. parent , child 로 부모, 자식 카테고리를 연결한다. - 주소(Address)
값 타입(임베디드 타입)이다. 회원과 배송(Delivery)에서 사용한다.
[!NOTE] JPA 데이터 타입(임베디드 타입)
너무 길어서 링크로 대체
https://gmlwjd9405.github.io/2019/09/12/value-type-of-basic-and-embedded.html
[!NOTE] Member - Order 참고
Member가 Order를 일대다로 가지고 있고 Order가 Member를 다대일로 가지고 있는 양방향 연관관계이다. 하지만 실무에서는는 Memeber는 Order를 참조하지 않고, Order가 Member를 참조하는 것으로 충분하며 양방향 관계를 사용하지 말고 단방향 관계를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시스템에서는 사실 멤버랑 오더랑 동급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리고 주문을 생성할 때 회원이 필요하다고 보면 되고 쿼리를 사용할 때도 주문 내역이 필요하면 멤버를 찾아서 들어가서 오더를 찾아오는 게 아니라 오더에서 멤버를 필터링하면 되기 때문이다.
즉, 실무에서는 회원
이부분 찾아봐도 잘 이해가 안가서 더 공부해야 할듯
다대다 문제(Category - Item)
아래 두 테이블이 다대다 관계라 생각해보자.
두 테이블을 양방향 관계로 서로를 참조한다면 아래처럼 될 것이다
이렇게 되면 데이터를 구분할 수 있는 테이블의 PK가 사라진다.
- 학생 테이블은 학번만으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없게 되었고 과목 테이블은 과목코드만으로 데이터를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 그리고 학번 + 과목코드로도 구분할 수 없게 되었다.(1학번 S1 수강 학생 == 1학번 S2 수강 학생)
- 만약 홍길동 학생이 수학과로 전과하게 된다면 학생 테이블에서 2군데나 변경을 해야하고 데이터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변경해야 할 데이터를 많아진다.
- 특정 학생의 수강 과목을 확인하기 위해서 학생 테이블과 과목 테이블 모두에서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애매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대다 관계를 1대다 - 다대1로 풀어주면 된다.
https://goodteacher.tistory.com/466
회원 테이블 분석
- MEMBER
회원 엔티티의 Address 임베디드 타입 정보가 회원 테이블에 그대로 들어갔다. 이것은 DELIVERY 테이블도 마찬가지다. - ITEM
앨범, 도서, 영화 타입을 통합해서 하나의 테이블로 만들었다. DTYPE 컬럼으로 타입을 구분한다.
[!tip] 참고
- 테이블명이 ORDER 가 아니라 ORDERS 인 것은 데이터베이스가 order by 때문에 예약어로 잡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관례상 ORDERS 를 많이 사용한다.
연관관계 매핑 분석
- 회원과 주문
일대다 , 다대일의 양방향 관계다. 따라서 연관관계의 주인을 정해야 하는데, 외래 키가 있는 주문을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정하는 것이 좋다. 그러므로 Order.member 를 ORDERS.MEMBER_ID 외래 키와 매핑한다. - 주문상품과 주문
다대일 양방향 관계다. 외래 키가 주문상품에 있으므로 주문상품이 연관관계의 주인이다. 그러므로 OrderItem.order 를 ORDER_ITEM.ORDER_ID 외래 키와 매핑한다. - 주문상품과 상품
다대일 단방향 관계다. OrderItem.item 을 ORDER_ITEM.ITEM_ID 외래 키와 매핑한다. - 주문과 배송
일대일 양방향 관계다. Order.delivery 를 ORDERS.DELIVERY_ID 외래 키와 매핑한다. - 카테고리와 상품
@ManyToMany 를 사용해서 매핑한다.(실무에서 @ManyToMany는 사용하지 말자. 여기서는 다대다 관계를 예제로 보여주기 위해 추가했을 뿐이다)
[!Note] 일대다 관계 연관관계
일대다 관계에서는 외래키(FK)를 항상 '다'쪽이 갖고 외래키(FK)를 갖고 있는 '다'쪽이 연관관계의 주인이 된다.
연관관계 주인만이 외래키를 관리(등록,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주인이 아닌 쪽은 읽기만 가능하다.https://ultrakain.gitbooks.io/jpa/content/chapter5/chapter5.4.html
https://velog.io/@conatuseus/%EC%97%B0%EA%B4%80%EA%B4%80%EA%B3%84-%EB%A7%A4%ED%95%91-%EA%B8%B0%EC%B4%88-2-%EC%96%91%EB%B0%A9%ED%96%A5-%EC%97%B0%EA%B4%80%EA%B4%80%EA%B3%84%EC%99%80-%EC%97%B0%EA%B4%80%EA%B4%80%EA%B3%84%EC%9D%98-%EC%A3%BC%EC%9D%B8
[!Note] 일대일 관계 연관관계(주문 - 배송)
일대일 관계에서는 양쪽 모두 연관관계 주인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외래키가 가까운 곳에 있는 곳을 주인으로 정해야 편하다.
(이 부분은 이해를 못함)
'Back-end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핵심 원리] 객체 지향 원칙(SOILD) 적용 - 설정 클래스(AppConfig) 사용 (0) | 2024.12.03 |
---|---|
[Spring] 컴포넌트 스캔과 의존 관계 자동 주입 (@ComponentScan, @Autowired) (0) | 2024.09.29 |
[Spring] 싱글톤 패턴과 싱글톤 컨테이너 (1) | 2024.09.25 |
[Spring]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 (1) | 2024.09.13 |
[Spring] 객체 지향 원칙(SOILD) 적용 - 설정 클래스(AppConfig) 사용 (0) | 2024.09.13 |